수영 용어를 알면 좋은 점은 무엇일까요?
다른 스포츠들과 마찬가지로 조금 더 전문적으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각 스포츠 분야에서 사용하는 용어들에 대한 이해와 정리가 필요합니다. 특히 수영의 경우, 영/미의 용어가 지배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대분분의 코치나 선수들 또한 훈련의 편의상 해당 용어들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수영 강습을 받다 보면 강사가 지시하는 대로 따라 하기는 하지만 그 드릴이나 훈련이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지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다 보니 집중할 포인트를 놓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곤 하지요. 그래서 저는 수영 강습에 필요한 개념과 용어들을 하나씩 정리하곤 합니다. 스스로 본인이 원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서 훈련하는 재미도 쏠쏠한 편입니다. 특히, 자유수영을 갈 경우, 무엇을 해야 할지 몰라 그냥 뺑뺑이 수영을 하거나 드릴만 하고 마치는 경우가 많았거든요. 하나씩 시도하다 보면 조금씩 발전한다는 믿음으로 프로그램을 짜서 수영하곤 합니다.
수영인이 알아야 할 수영 용어
Swimming Terminology Every Swimmer Should Know.
1. Strokes: 영법에 대한 용어
Free =Freestyle
Free = 자유형
Back = Backstroke
Back = 배영
Breast = Breaststroke
Breast = 평영
Fly = Butterfly stroke
Fly = 접영
IM = Individual Medley (fly, back, breast to free is IM order)
IM = 개인혼영
Ch = Choice of stroke, whatever the athlete likes
Ch = 영법 선택,
2. Drills :드릴 용어
DR or Drill = Drill or exercise of your choice
DR or Drill = 드릴이나 연습법 선택
DPS = Distance per stroke, maximizing the amount of distance you travel in a single stroke, (requires more patience and slower cadence in the water)
DPS = 스트로크 당 이동 거리를 늘리는 연습
Pull = Utilizing a pull buoy and/or paddles, to improve force production with the arms and core
Pull = 풀부이나 패들을 이용하여 풀 동작을 연습, 팔과 코어를 통해 이끌어내는 힘을 개선하기 위함.
RT = Right arm/side only
RT = 오른 팔 쪽만
LT = Left arm/side only
LT = 왼 팔 쪽만
RT/LT = Alternating between right and left by lap
RT/LT = 랩마다 오른쪽, 왼쪽을 번갈아 가며
FTIP = Fingertip drag drill, dragging the fingers over the surface of water during recovery
FTIP = 핑거팁 드래그 드릴, 손가락으로 수면을 긁듯이 암 리커버리를 진행.
UW = Underwater
UW = 수중
K or k = Kick
K or k = 킥
Catch-up = Catch-up drill
Catch-up = 캐치업 드릴, 전통적인 이 드릴은 어깨 부상의 위험과 효용성 문제로 이제는 추천되지 않는다.
Count = Counting of strokes in the interval
Count = 인터벌 간에 스트로크 개수 세기.
Scull = drill using hands in short motions to hold water and propel the body
Scull = 손으로 짧은 동작들을 반복하여 물을 잡고, 몸을 나아가게 하는 연습.
3. 수영 훈련 용어해설
EN1 = Basic endurance training
EN1 = Endurance의 약어로 가벼운 기초 지구력 훈련 예) 피라미드 운동으로 짧은 거리에서 점차 긴 거리로 다시 짧은 거리로, 혹은 긴 거리에서 점차 짧은 거리로 다시 긴 거리를 소화하는 훈련
EN2 = Threshold endurance training
EN2 = Endurance의 약어로 약간 숨이 찰 정도의 역치 지구력 훈련
EN3 = Overload endurance training
EN3 = Endurance의 약어로 과부하 지구력 훈련 예) 인터벌 훈련, 200M 정도 거리의 레페티션 트레이닝(Repetition training)
SP1 = Lactate tolerance training
SP1 = Sprint의 약어로 하이텐션 상태를 유지하는 젖산 내성 훈련 예) 짧은 휴식시간을 가지고 비교적 빠른 스피드로 역영하는 레페티션 트레이닝(Repetition training)
SP2 = Lactate production training
SP2 = Sprint의 약어로 자신의 능력치를 최대로 끌어내는 짧은 거리의 젖산 생성 훈련 예) 긴 휴식시간을 가지고 비교적 짧은 50M나 100M를 전력으로 역영하는 훈련.
SP3 = Power training
SP3 = Sprint의 약어로 파워 향상 훈련
예) 스타트 후 25M-30M 대시, 스트레칭 코드나 핀을 이용한 짧은 거리의 대시
4. Intensities 훈련 강도 용어와 설명
WU or W/U = Warm-up
WU or W/U = 웜업
REC = Warm-up/Recovery/Warm-down
REC = Recovery의 약어로 트레이닝 시스템중 웜업이나 웜다운 세트 사이의 회복을 위한 이지수영 등을 나타낸다.
MS or M/S = Main set
MS or M/S = 메인 세트
CD or C/D = Cool Down
CD or C/D = 쿨 다운
CYC = Cycle
CYC = 세트 내에서 하나의 운동에 주어진 시간을 나타낸다.
Build = Starting off the interval slowly, increasing the speed steadily, finishing very fast
Build = 인터벌 중에 첫 단계는 천천히 시작해서 단계별로 속도를 높이다가 마지막은 매우 빠르게 구성하는 것
EZ or Easy = Easy paced swimming
EZ or Easy = 천천히
Mod or Moderate = Moderate effort swimming
Mod or Moderate = 보통 속도로
Firm = Moderate effort swimming
Firm = 보통 속도로
Form = Easy to moderate effort swimming, where your focus is correct form, NOT effort
Form = 천천히 시작해 속도를 높이지만 속도보다 올바른 자세에 초점을 두고 하는
FAST or HARD = Hard effort swimming
FAST or HARD = 전력을 다해서
T-pace = A training pace determined in test sets
T-pace = 트레이닝 페이스를 정하기 위해서 하는 테스트 세트
SI = Stroke Interval, (2:00SI = 2 mins to complete the distance of the interval, before you start the next interval. For example, swimming 100 meters in 1:35 would mean you have 25 secs recovery before you must start the next interval on a 2:00SI)
SI = 영법 인터벌, (2:00SI = 다음 인터벌이 시작되기 전 2분 안에 인터벌 거리를 끝마치는 것. 예를 들자면 100M를 1분 35초에 들어왔다면 다음 인터벌 전까지 25초를 쉴 수 있는 구조.
Base = A training pace which is steady and aerobic in intensity.
Base = 일정한 페이스의 유산소 운동을 유지할 수 있는 기본 베이스
B +5 = Base pace plus a time in seconds, 5 seconds in this example, for SI
B +5 = 기본 페이스에 해당 시간을 더하는 것으로 SI에 쓰임.
B -5 = Base pace minus a time in seconds, 5 seconds in this example, for SI
B -5 = 기본 페이스에 해당 시간을 빼는 것으로 SI에 쓰임.
DESC = Descend the intervals, meaning each interval should be faster than the one before it
DESC = 각 인터벌에서 바로 전 것보다 빠르게
N/S = Negative Split, second half of the interval is faster than the first half
N/S = 인터벌의 해당 거리를 둘로 나누어 앞 쪽보다 뒷 쪽을 빠르게
FSOP = Fastest Send-Off Possible, meaning the fastest time interval possible for a set
FSOP = 가능한 빠른 페이스로
TIP = Tightest Interval Possible, meaning the fastest time interval possible for a set
TIP = 가능한 휴식시간을 짧게
B-3,4,5 = Breathe every 3rd stroke, then every 4th, then every 5th
B-3,4,5 = 스트로크 3번에 1호흡, 다음 4번에, 다음 5번에 호흡
5. 수영훈련 방법들에 대한 용어와 설명 (가나다순)
1) 네거티브 스플리트 트레이닝 (Negative split training)
속도와 페이스 배분을 몸에 익히도록 하기 위해 일정한 거리를 수영할 때 전반보다 후반을 빨리 하도록 하는 훈련방법
예) N/S 50M 라고 한다면 전반 25M보다 후반 25M를 빠르게 역영하는 것이다.
2) 디센딩(Descending)
인터벌 훈련에 한 방법으로서 앞에 수행한 속도보다 다음에 수행 때마다 점점 빠르게 수행
예) free 4*100M Base, B -5, B -7, B -10
3) 디크리싱 디스턴스 리피트(Decreasing distance repeat)
수영훈련의 한 종류로서 횟수를 반복해 나갈수록 점점 거리를 줄여 가는 훈련방법
예) 200M-150M-100M-50M
4) 리그레시브 세트(Regressive set)
프로그레시브 세트의 반대되는 의미로 거리를 반복할수록 점점 속도를 늦춰 가는 훈련방법
5) 리피티션 트레이닝(Repetition training)
속도, 거리, Breathe 등 내용에 변화 없이 똑같이 반복하여 연습하는 훈련방법
예) 4*100M rest1'00"라고 한다면 100M 당 휴식시간 1분으로 4번을 진행하는 것이다.
6) 베어링 디스턴스 세트(varying distance set)
다양하게 거리에 변화를 주어 연습하는 훈련방법
예) 50M-200M-100M-25M
7) 브로큰 스윔(Broken swim)
일정한 거리를 몇 개로 구분하여 짧은 휴식을 가지며 하는 훈련방법
8) 서킷 트레이닝(circuit training)
다른 근육을 사용하는 여러 가지 운동을 적은 휴식시간을 가지고 순차적으로 반복하는 훈련방법
예) 자유형 킥 + 자유형 풀 + 평영 킥 + 평영 풀 + 배영 킥 + 배영 풀 + 접영 킥 + 접영 풀
9) 스트레이트 스윔(Straight swim)
일정한 거리를 구분 짓지 않고 한 번에 완료하는 훈련방법
10) 오버 디스턴스 트레이닝(Over distance training)
영자의 경기출전 종목의 거리보다 긴 거리로 연습하는 훈련방법
예) 100M 경기에 엔트리 된 경우 200M를 연습한다.
11) 테퍼링(tapering)
컨디션을 유지할 수 있도록 연습량을 줄여 가면서 연습의 질에 중점을 두는 방법. 그동안 해온 훈련으로 지치고 손상받은 몸을 회복시켜 경기 당일 최고의 컨디션을 만들기 위한 과정.
예) 경기 전 1주일 부터는 운동량을 절반가량으로 줄이고 스타트나 턴에 중점을 두고 훈련한다.
12) 프로그레시브 세트(Progressive set)
거리는 변화를 주지 않고 반복할 때마다 점점 속도를 증진시켜 나가는 훈련방법
13) 포지티브 스플리트 트레이닝, 서커 스플리트 트레이닝 (Positive split or Sucker split training)
전반은 빠르게 후반은 그보다 속도를 줄여 연습하는 훈련방법. 단일로 쓰이는 일은 없고 네거티브 스플리트와 짝을 이뤄 이용된다.
예) P/S 50M 라고 한다면 전반 25M는 빠르게 후반 25M는 그보다 속도를 줄여 역영하는 것이다.
14) 하이폭식 트레이닝(Hyposic training)
수영 중 호흡수를 1/2, 1/3이나 그 이하로 제한하는 연습하는 훈련방법
예) B-4 라고 한다면 4 스트로크 당 1 호흡
댓글